- 노후화된 도시의 새로운 얼굴을 만드는 건축가
최정우 울산대학교 건축학부 교수와 ㈜건축사사무소 유니트에이가 공동 제안한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사업’이 ‘2023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에서 대상인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은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의 보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성별, 연령, 국적 장애와 관계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심사에서 외관 디자인은 물론 유지·관리 등 운영 측면에서 높은 이용 만족도를 보이며 도시적 사회문제를 해결한 공공디자인으로 평가받았다. _박미희 기자
최정우 교수는 공공건축에 대한 참신한 발상과 시도로 주목받는 젊은 건축가다. 울산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건축사사무소 기오헌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고 2010년, 건축사사무소 units UA를 설립했다. 현재는 울산대학교 건축학부에서 건축설계와 이론을 강의하고 있고, 건축의 물성과 디테일링, 리노베이션, 공공건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가 건축가가 된 것은 모교인 울산대학교와의 인연에서부터 시작된다. “어려서부터 미술을 좋아했어요. 하지만 부모님은 생계를 책임지기 어렵다며 화가가 되는 걸 반대를 하셨죠. 고등학생 때는 지병으로 학기 중 절반은 등교할 수 없을 정도였어요. 어렵사리 대입을 준비할 때, 미술과 가장 가까운 학문 중에 건축학을 선택했고 울산대학교 건축학과에 진학할 때 만해도 장래에 대한 고민과 방황이 컸지만, 교수님들이 학생들에게 진심 어린 애정을 갖고 체계적으로 건축학을 잘 가르쳐주셨어요. 건축학 수업을 들을수록 점차 건축에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됐죠. 이때만 해도 보통의 사람들처럼 ‘건축은 집을 잘 짓는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학부생 때, 우연히 광주 해방촌에 집을 고치는 봉사를 하러 갔다가 ‘건축이 제법 세상을 구할 수 있는 일이 될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했고, 또한 ‘공공성 있는 건축이 매우 의미가 있겠다’라는 생각을 가지게 됐어요. 이후 제가 좋아하는 건축가 선생님들이 계신 한예종 대학원에 진학해 공부를 더 했고요. 졸업 후에는 대학원 때부터 배웠던 민현식 선생님이 계신 기오헌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습니다.”
스페이스살림
최정우 교수는 건축의 공공성과 재생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크고 작은 공공 프로젝트를 주로 진행했다. 대표작으로는 스페이스살림, 한국예술종합학교 리노베이션, 홍릉 콘텐츠시연장 등이 있다. 우수성을 인정받아 2022년 한국리모델링 대전 준공부문 특선, 2021년 대한민국공공디자인 대상 문체부장관상, 2021년 제1회 서울유니버셜 디자인 대상, 2021년 한국건축문화대상 사회공공부문을 수상했다. 2021년 Taesookim fallow critic 선정, 2021년 국가건축위원회 우수공공건축 선정, 2018년 서울시 건축상 공공부문 수상, 2015년 대한민국 경관대상 국토부장관상, 2015년 농촌건축대전 사용승인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대표작 중 ‘스페이스살림’은 공공건축에 대한 그의 생각을 알 수 있는 작품이다. 스페이스살림은 일하는 여성의 일과 삶의 균형을 지원하는 복합문화공간이자 여성 스타트업의 성장 공간이다. 건물이 들어선 곳은 서울 대방동의 미군기지 ‘캠프 그레이’ 부지. 한국전쟁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무거운 근현대사를 견뎌온 부지 위에 여성을 위한 건축물이 들어선 것이다. 스페이스살림에 현실의 장벽에 부딪혀 일자리를 놓아야 했던 여성들의 꿈을 되살린다는 의미를 담았다. 우수한 공공건축의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한국건축문화대상-우수상’을 수상했다.
“스페이스살림은 시설이 아닌 장소로 기능하는 공공 공간입니다. 도시의 맥락을 고려해 부지와 접한 크고 작은 모든 길과 마당을 교차시킨 점이 특징이죠. 도시의 길과 건물이 모두 만나도록 설계해 생활가로가 건축공간으로 이어지도록 했어요. 마치 하나의 마을과도 같아요. 건물을 흩어져 배치한 것도 의도한 장치죠. 어느 공간이든 쉽게 갈 수 있도록 건물을 배치했습니다. 지하철 1호선 대방역과 연결된 지하층은 다양한 작업과 협업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채웠어요. 건물을 둘러싼 도시와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입니다. 공간의 위계가 분명한 공공건축 대신 수평성과 다원적 민주주의를 담은 도시건축을 지향했습니다.”
이번 ‘2023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한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사업’은 교통약자를 배려한 것은 물론 동네의 얼굴을 새롭게 바꿨다. “윗동네인 아파트촌 주민, 특히 노약자들이 대로에 편리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편의성을 추구했어요. 밝은 조명으로 어두침침한 동네를 환하게 밝혀 마을의 랜드마크 기능까지 더했죠. 실제로 ‘엘리베이터에 자전거를 싣고 대로로 갈 수 있어 훨씬 편리하다’라는 할아버지의 말씀을 듣고 보람을 느꼈어요(웃음).”
북아현동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사업
최정우 교수는 최근 모교인 울산대학교로 돌아와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공공건축에 대한 철학과 풍부한 실무 경험, 탄탄한 이론을 토대로 학생들의 꿈에 날개를 달아주고 있는 것. “학생들을 동료 건축가라 생각해요. 다만 제가 먼저 많은 경험을 쌓았고 심도 있는 이론을 알 뿐이지 학생들 한 명, 한 명이 장차 훌륭한 건축가가 되리라 생각해요. 좋은 건축가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저는 ‘항상 본인 스스로를 의심해라’라고 말합니다. 누군가에게는 평생에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건축물을 훌륭하게 짓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고민과 연구를 거듭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노후화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재생이 시대의 화두가 된 요즘, 최정우 교수는 로컬 브랜딩이 가능한 도시재생과 공공건축을 위해서 창의적인 발상과 참신한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앞으로 대학에서 후학 양성에 힘쓰며 시설이 아닌 장소가 되는 공공건축을 위해 새로운 시도를 계속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언젠가는 건축 기술뿐만 아니라 디자인, 제조 등 건축 전반에 친환경의 가치를 실현하는 NGO 재단을 설립하는 것이 꿈이에요(웃음).” [1153]
